안나 프로이트는 1895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여섯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녀는 형제들과 어머니와는 거리감을 느꼈으나 아버지와는 매우 가깝게 지냈다. 사립학교에 다닐 때 교실에서 배운 것은 거의 없었다는 말까지 서슴지 않고 했다. 그녀에겐 아버지의 친구나 동료들 가까이에 있는 것 자체가 아주 중요한 교육이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음, 안나 프로이트는 아버지의 책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시작했으며 또한 초등학교 교사로도 활동했다. 교사 생활을 하면서 그녀는 아동 치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918년에 안나는 결핵에 걸려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포기해야 했다. 이 시련의 기간에, 그녀는 자기 아버지에게 자신이 꾼 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그녀의 꿈을 분석하기 시작했을 때, 안나는 곧 자기 아버지의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자신도 나름대로 정신분석을 추구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안나 프로이트는 자기 아버지가 제기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들 중 많은 것을 믿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잠재의식의 구조보다는 에고와 심리의 역학관계에 관심을 더 많이 기울였다. 이 관심이 1936년에 독창적인 책인 [에고와 방어기제](The Ego and Mechanics of Defense)로 결실을 맺었다.
안나 프로이트는 아마 아동 정신분석 분야를 창설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아동 정신분석은 아동 심리에 관한 중요한 통찰을 많이 내놓았다. 그녀는 또한 아이들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한 것으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23년에, 안나 프로이트는 대학 졸업장을 취득하지 않은 상황에서 빈에서 자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정신분석 활동을 벌였으며 빈 정신분석 학회의 회장으로 지명되었다.
안나 프로이트와 그녀의 가족은 1938년 나치 침공 때문에 하는 수 없이 조국을 떠나 영국으로 옮겼다. 그녀는 1941년에 런던에서 아동 심리학자 도로시 벌링엄(Dorothy Burlingham)과 헬렌 로스(Helen Ross) 등과 함께 햄스테드 전쟁 보육원이라는 시설을 건립했다. 이 시설은 가정을 잃은 아이들을 위한 보금자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정신분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 시설에서 활동한 경험이 3권의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1942년에 [전시의 어린아이들]이, 1943년에 [가족 없는 아이들]과 [전쟁과 아이들]이 발표되었다. 1945년에 이 보육원은 문을 닫았으며, 안나 프로이트는 햄스테드 아동 치료 코스와 클리닉의 책임자를 맡아 죽을 때까지 활동을 벌였다. 1982년 세상을 떠날 때, 안나는 이미 정신분석 분야에 아주 소중한 유산을 남겼으며, 그녀가 남긴 유산의 빛을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마 그녀의 아버지와 다른 소수 심리학자의 기념비적인 영향뿐일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가 방어기제의 개념에 기여한 바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먼저 그녀 아버지의 연구부터 돌아보아야 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에고가 이드와 슈퍼에고와의 갈등을 다룰 때 이용하는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긴장 완화가 중요한 동인이고 또 이 긴장은 주로 불안으로 인해 야기된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불안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1. 현실적 불안: 실제로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에 대한 두려움을 일컫는다.
2. 신경증적 불안: 이드의 충동에 압도당하고 이드의 충동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그로 인해 피해를 보게 되지 않을까 하는 무의식적 두려움을 일컫는다.
3. 도덕적 불안: 우리의 도덕적 원칙과 가치들이 침범당하고 그로 인해 수치심이나 죄의식을 느끼게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일컫는다. 이런 유형의 불안은 슈퍼에고에서 비롯된다.
불안이 일어날 때, 그 불안에 대처하고 또 에고를 현실과 이드, 슈퍼에고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방어기제가 이용된다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주장했다. 그는 이 방어기제가 종종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왜곡하고 개인이 문제를 회피하는 한 방법으로 남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사람들이 보다 건강한 방법으로 자신의 불안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이 방어기제들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유익할 수 있다.
하지만 안나 프로이트가 이 방어기제에 기여한 부분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그녀는 에고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어기제들을 찾아내는 업적을 이뤘다. 그 방어기제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정: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거나 일어났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인지하길 거부하는 것을 말한다.
2. 전치: 자신이 느낀 감정이나 낭패를 보다 덜 위협적인 사람이나 사물에게 그래도 쏟는 것을 말한다.
3. 지성화: 무엇인가에 대해 냉철하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4. 투사: 당신의 불편한 감정을 떼어내서 그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로 넘기는 것을 말한다.
5. 합리화: 어떤 감정이나 행동의 진짜 이유를 회피하면서 그럴듯하지만 거짓인 그런 변명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6. 반동 형성: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기 위해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7. 퇴행: 어린아이 같은 행동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8. 억압: 자신을 불편하게 만드는 생각들을 잠재의식으로 밀어 넣는 것을 말한다.
9. 승화: 용인할 수 없는 행동을 용인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놓는 것을 말한다.
어린이들을 위한 치유법을 창조하기 위해, 안나 프로이트는 원래 자기 아버지의 연구 성과를 지침으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그렇게 하면 그녀로서는 아이들을 위해 정상적인 성장률과 정상적인 발달을 정확하게 파악해 내기만 하면 될 터였다. 그런 식으로, 만약 어떤 발달이, 예를 들어 위생 관념이 배제되거나 늦어진다면, 치료 전문가는 그런 구체적 장애를 일으킨 원인을 찾아낸 다음에 치료법을 이용하여 그 장애를 바로잡을 수 있을 터였다. 그러나 안나는 곧 자기 아버지가 다루는 성인 환자들과 아이들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존재하고 따라서 자신의 기법을 지속해서 바꿔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안나 프로이트는 자기 아버지의 그늘 아래에서 자신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럼에도 그녀는 자신도 심리학계에 소중한 자산이라는 점을 입증해 보였다. 그녀가 방어기제와 관련하여 자기 아버지의 연구에 기여한 부분과 아동 정신분석을 창설한 업적은 지금도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우리가 지금 아동 심리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것들 중 많은 것이 그녀의 연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0) | 2023.11.25 |
---|---|
로런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0) | 2023.11.24 |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2/2 (0) | 2023.11.23 |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2 (0) | 2023.11.23 |
B.F. 스키너 (0) | 2023.11.23 |